학회소식

공지사항

[우석원광학생부]11/17 빈용스터디 과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문혜원 댓글 3건 조회 1,731회 작성일 2008-11-19 23:37

본문

1. 패모 (반하와 비교)
2. 천식에 대해 공부할 것 (기관지천식 vs 심장성천식)
3. 소자
4. 음허발열과 양허발열의 차이점, 맥, 대표적인 약재, 처방
5. 맥문동(천문동과 비교)

cf. 그외 공부해보라고 하신 것
* 과루인 (석고, 지골피와 비교)
* 길경
* 현삼

다른때보다 진도를 많이 나가서인지 숙제가 많네요 ㅎㅎ
다들 답글 달아주세요^_^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8-11-24 15:00:13 세미나ㆍ강의에서 복사 됨]

댓글목록

이창연님의 댓글

이창연 작성일

◉ 貝母
【起原】白合科의 貝母, 中國貝母, 捲葉貝母, 烏花貝母, 甘肅貝母, 棱砂貝母의 鱗莖
【性味歸經】苦甘凉, 肺經
【效能】化痰止咳, 淸熱散結
【注意】寒痰과 濕痰으로 인한  痰多咳嗽에는 忌한다.
【藥理】① 鎭咳去痰작용
            ② 川貝母의 사포닌은 뚜렷한 鎭咳去痰작용을 하지만 알칼로이드는 祛痰作用만 있다.
            ③ 川貝母는 降壓, 解痙작용과 적출자궁에 대한 흥분작용이 있다.,

◉ 半夏
【起原】天南星과에 속한 半夏의 地下 塊莖.
【性味歸經】辛溫 有毒 脾胃肺經
【效能】燥濕化痰, 降逆止嘔, 消痞散結
【炮製】淸半夏 : 白礬水를 넣고 찐다. → 燥濕化痰
            薑半夏 : 白礬과 生薑片을 넣어 液이 충분이 스며들게 쪄서 陰乾한다. → 降逆止嘔에 편중
            法半夏 : 冷水에 담가 흰 거품이 나오면 白礬을 넣어 매일 물을 갈아주어 아린 맛이 나지 않을 때가 되면 꺼
                        내서 햇볕에 말리고 별도로 甘草石灰水浸液을 만들어 여기에 넣어서 휘저어 혼합하여 中心部의
                        白心이 없어지고 고루 스며들어 黃色으로 되면 꺼내어 陰乾한다. → 和胃燥濕
            曲半夏 : 半夏와 밀가루, 生薑汁을 넣어 발효시킨다. → 化痰消食
            生半夏 : 雜質을 제거하하고 말리거나 생으로 사용한다. → 有毒하여 주로 外用에 응용하여 消腫散結한다.
【注意】辛散 溫燥하므로 出血證 및 陰虛로 인한 燥咳와 津液의 損傷으로 인한 口渴에는 忌한다.
【藥理】① 半夏의 독성분은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다. 止嘔와 止咳의 유효성분은 뜨거운 물에 용해된다.
            ② 유독성분은 薑汁에 의해 파괴되지 않으나 白礬에 의해서는 제거된다.
            ③ 제반하 丸劑와 半夏湯劑, 半夏엑스, 半夏粉劑는 鎭吐작용을 한다. 그러나, 生半夏는 催吐작용을 한다. 
            ④ 半夏단백은 마우스의 조기 임신에 뚜렷한 길항작용을 한다. 생반하추출물은 심장리듬의 실조에 길항하
                는 활성이 있다.
            ⑤ 掌葉半夏의 희석알콜 추출물또는 물 추출물은 암종과 Hela세포에서 뚜렷한 억제작용을 한다.

◉ 蘇子
【起原】꿀풀과(脣形科)에 속한 차조기(차즈기)의 果實
【性味歸經】辛溫 無毒, 肺大腸經
【效能】止咳平喘, 潤腸通便
            → 이 약물은 辛溫하고 香氣가 있으며 潤性으로 下降 下氣消痰하여 止咳平喘하며 동시에 利膈寬腸 潤燥작
              용을 한다.
【注意】耗氣滑腸의 폐단이 있으므로 氣虛久咳와 陰虛喘逆 및 脾虛便溏에는 忌한다.
【藥理】① 祛痰, 抗喘息작용 및 완화작용이 있다.

◉ 麥門冬
【起原】白合과에 속한 小葉麥門冬, 麥門冬의 肉質 塊根.
【性味歸經】甘 微苦 微寒, 肺心胃經
【炮製】朱麥門冬 : 麥門冬에 물을 뿌려 축인후 朱砂粉을 고루 섞어 햇볕에서 건조한다. → 安神作用
            炒麥門冬 : 文火로 표면이 부풀어 오르고 짙은 黃色이 될 때까지 炒하여 放冷한다.
【效能】潤肺養陰, 益胃生津, 淸心除熱, 兼能潤腸
            → 肺胃陰의 淸養 潤燥生津에는 淸水에 축여 芯을 제거하고 사용하고, 滋陰淸心火에는 芯이 붙어 있는 蓮
                心麥門冬을 사용하며, 滋補藥에는 술에 담가 芯을 제거하고 사용하고, 安神劑에는 朱麥門冬을 사용.
【注意】寒하고 潤하므로 外感風寒이나 痰飮濕濁에 의한 咳嗽와 脾胃虛寒의 泄瀉에는 忌한다.
【藥理】① 산소결핍에 길항하는 능력을 높이고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며 심근빈혈에 뚜렷한 보호작용을
                하고 아울러 실험성 심장리듬 실조에 길항하며 심근 수축력을 개선하고 일정한 진정작용을 한다.
            ② 체액성 면역의 촉진작용, 핵산 대사를 조절하는 작용, 조혈장기에 대한 개선작용, 항염증작용, 항균작
                용, 혈당강하작용, 랑게르한스섬 세포의 회복을 촉진하는 작용 등이 있다.
            ③ 진해, 강심이뇨작용이 있다.

◉ 天門冬
【起原】白合科에 속한 天門冬의 塊根.
【性味歸經】甘苦 大寒, 肺腎經
【效能】淸肺降火, 滋陰潤燥
【注意】甘苦寒으로 虛寒 泄瀉 및 外感風寒의 咳嗽에는 忌한다.
【藥理】① 天門冬 탕제는 탄저균, A형 및 B형 연쇄상구균등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고, 모기 파리유충을 살멸한다.
            ② 백혈병세포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한다.
            ③ asparamide는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 貝母와 半夏의 차이점
① 貝母 : 苦寒으로 淸肺化痰하는 효능이 오직 肺에 있으므로 熱痰과 燥痰에 적용한다. 潤한 성질로 소아의 감기나
            유아의 祛痰劑로 또는 오랜 喘息에 사용한다
② 半夏 : 辛溫으로 燥濕하는 효능이 脾와 肺에 있어서 寒痰과 濕痰에 사용한다. 燥한 성질

★ 麥門冬과 天門冬의 차이점
① 麥門冬 : 甘, 微苦, 微寒으로 潤肺 淸心 養胃에 작용하여 肺胃傷陰의 要藥으로 滋養의 효력이 天門冬에 비해 떨어
                지나 滋膩하지 않는 면에서 장점이 있다.
② 天門冬 : 甘苦大寒으로 潤肺와 滋腎의 효능이 있으므로 脾腎傷陰의 要藥이며, 淸火滋潤의 약효가 麥門冬에 비해
                뛰어나다.
☞ 肺腎陰虛에는 두 약물을 倂用하는데 胃陰에는 天門冬을 쓰지 않고 腎陰虛에는 麥門冬을 사용하지 않는다.

★ 喘息의 구분
① 心臟喘息 : 심장질환이나 고혈압 등에서 볼 수 있는 발작적 호흡곤란이고, 폐울혈이나 조직울혈로 인한 호흡중추
                  의 과민상태로 인해 일어나며 예후(豫後, prognosis:병이 나은 뒤의 경과)는 좋지 못하다.
② 氣管支喘息 : 기관지의 연축(攣縮:수축과 이완)·협소·점막종창(粘膜腫脹) 때문에 호흡도가 좁아져 일어나는 발작
                      적 호흡곤란으로서 천명(喘鳴: 가래가 끼어서 목에서 나는 소리)을 발하는 호식성(呼息性) 호흡곤란
                      이 주특징이고, 예후는 좋다.
③ 腦性 喘息 : 호흡중추영역의 장애로 발생
④ 尿毒症性 喘息 : 신장병환자에게 발생 등이 있다.

★ 陰虛發熱과 陽虛發熱의 비교
① 陰虛發熱 : 陰血이 저절로 손상되거나 腎水가 쇠갈하여 발생하는 발열.
  ▶ 증상 : 午後潮熱, 骨蒸, 五心煩熱, 消瘦, 盜汗, 口乾, 舌紅, 脈細數 등의 증상이 수반된다.
  ▶ 출전
≪素問≫<調經論> “음(陰)이 허(虛)하면 내열(內熱)을 발생(發生)시킨다”. (陰虛生內熱.)
≪格致餘論≫ “대저 陽은 바깥에 있어 陰이 護衛하고 陰은 안에 있어 陽이 지킨다. 精神이 바깥으로 달리고 嗜慾에
  節制가 없으면 陽이 붙을 곳이 없어져 마침내는 肌表之間으로 浮散되어 熱을 싫어한다.” (夫陽在外爲陰之衛,  陰
  在內爲陽之守. 精神外馳, 嗜欲無節, 陰氣耗散, 陽無所附, 遂致浮散 於肌表之間 而 惡熱也.)
≪證治滙補≫<陰虛發熱> “노심초사하거나 好色으로 眞陰이 內傷되어 陰血이 손상되고 양기만 유독 왕성함으로써,
  발열이 그치지 않고 저녁 무렵이면 더욱 심하여진다. 식사는 정상적으로 하되 머리가 때때로 터질 듯하고 맥은 洪
  數하면서 힘이 없으며 혀가 肥大하면서 붉은색을 띠는 경우는 음이 허한 것으로 진음을 滋養하여야 하므로 地黃湯
  이 적합하다. 만약 오랫동안 계속되어 盜汗이 나고, 遺精, 咳嗽가 있고 모발이 건조하면 三才丸으로 水를 보하여
  火와 짝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 역시 水의 주체[腎]를 튼튼하게 함으로써 陽光을 진정시킨다는 뜻이다.” (有
  勞心好色, 內傷眞陰, 陰血旣傷, 陽氣獨盛, 發熱不止, 向晩更甚, 或飮食如常, 頭脹時作, 脈洪數無力, 視其舌大而色
  赤者, 陰虛也, 當滋眞陰, 宜地黃湯. 若久而盜汗遺精, 咳嗽毛枯, 宜三才丸 補水以匹火, 是亦壯水之主, 以鎭陽光之義
  耳.)
≪醫碥≫<제1권> “음이 손상되어 水가 허약해지면 땔감이 말라 불이 맹렬하게 타오르므로 재앙이 생긴다. 이러한
  火炎은 수가 허한 것이 원인으로서 양이 亢盛하나 음이 아직 손상되지 않은 위의 경우와는 다르다. 입이 마르고 몸
  이 수척하며, 적게 먹고 나른하며 머리가 때때로 아프고 유정, 도한이 나고 뼈 속까지 달아 오르며 살이 녹아들 듯
  마르고 입술과 관골 부위가 붉으며 기침을 하면서 痰血을 뱉고 오랫동안 지속되면 노채를 형성한다. 치료는 甘潤
  한 약제로 水를 자양하여 火를 억제하여야 한다. (陰虧水虛則 柴乾火烈而 焚灼爲災矣. 此之火炎, 乃由水虛所致, 與
  上條 陽亢而陰未虧者 不同, 證見口乾體瘦, 食少懶倦, 頭痛時作時止, 遺精盜汗, 骨蒸 肉唇紅赤, 咳嗽痰血, 久成治
  宜甘潤之劑, 滋水以制火.)」라고 하였다.

  ▶ 치법 : 滋陰養血을 주로 하여 허열을 내려야 하니, 甘潤劑로 滋水하여 火를 제어하여 치료
            四物湯에 黃柏, 黃芩, 龜版을 더하여 쓰거나 鼈甲散, 靑蒿鼈甲湯, 大補陰丸, 一陰煎 등을 쓴다.

② 陽虛發熱 : 氣의 虛衰로 발생되는 虛熱, 특히 勞倦內傷으로 脾胃氣가 허해진 데에서 발생하는 虛熱
  ▶ 증상 : 發熱煩燥, 뺨이 불그레, 口渴不飮水, 兩足逆冷, 小便淸白, 下利淸谷, 脈沈細혹 浮數無力
  ▶ 출전
≪明醫雜著≫ "內傷으로 發熱하는 것은 陽氣가 손상되어 위로 도달하지 못하고 아래의 陰分으로 하강하여 內熱이
  된 것이니 이것은 陽虛한 까닭이다. 따라서 그 脈이 大하면서 無力하면 肺脾의 질병에 속한다." (內傷發熱, 是陽氣
  自傷, 不能升達, 降下陰分而爲內熱, 乃陽虛也. 故其脈大而無力, 屬肺脾.) 
≪경악전서(景岳全書)≫<잡증모(雜證謨)> "陽虛한 경우도 또한 發熱할 수 있는데, 이것은 元陽이 敗竭하여 火가
  그 根源으로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이다"(陽虛者, 亦能發熱, 此以元陽敗竭, 火不歸源也)
≪의편(醫≫<제1권> "양허란 腎火가 허한 것이다. 양이 허하면 추워야 하는데 어째서 도리어 열이 나는가? 허하면
  서도 한이 있기 때문이다. 한이 안에 있어 양을 밖으로 격리시키므로 밖에서 열이 나며, 한이 하부에 있으면서 상
  부로 양을 떠받치므로 상부에서 열이 나는 것이다. 이는 無根의 火가 공연히 타오르기 때문이다. 煩躁하고 흙탕물
  에 앉거나 누우려 하며, 얼굴이 약간 취한 듯 붉고 양쪽 관골 부위가 분홍색을 띠면서 여기저기가 울긋불긋하다.
  갈증이 나 물을 마시려 하지만 인후가 아파서 물을 찾아 앞에 놓아주어도 마시지 못하고, 肌表에서 크게 열이 나지
  만 힘주어 누르면 뜨겁지 않거나 도리어 차갑게 느껴진다. 또한 두 발이 반드시 차며 소변이 맑으면서 희고, 전혀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을 설사하며 맥은 沈細하거나 浮數하면서 힘이 없어 누르면 흩어지려 하는 증상이 나타난
  다. 치료에는 溫熱劑로 중부를 溫補하여 양이 안으로 돌아가게 하고, 하부를 온보하여 火가 근원으로 돌아가게 한
  다. 만일 寒凉한 약제를 잘못 투여하면 즉시 사망한다."(陽虛 謂腎火虛也. 陽虛應寒, 何以反發熱? 則以虛而有寒,
  寒在內而 格陽於外, 故外熱, 寒在下而 戴陽於上, 故上熱也. 此爲無根之火, 乃虛焰耳. 證見煩躁, 欲坐臥泥水中, 面
  赤如微 或兩淺紅, 游移不定, 渴欲飮水, 或咽喉痛而 索水置前, 却不能飮, 肌表雖大熱而 重按之則不熱, 或反覺冷, 且
  兩足必冷, 小便淸白, 下利淸穀, 脈沈細 或浮數無力, 按之欲散. 治宜溫熱之劑, 溫其中而 陽內返, 溫其下而火歸元.
  誤投寒立死.)
 
 ▶ 치법 : 補腎溫陽, 引火歸原해야 하므로 甘溫한 약물로 열을 없애야 한다. 勞倦內傷에는 補中氣해야 한다.

문혜원님의 댓글

문혜원 작성일

1. 패모와 반하
(1) 천패모
감,고,미한/폐,심
화담지해, 소종산결
[약리]
진해거담: 해수 잠복기의 연장. 뚜렷한 거담작용.
혈압강하: 호흡억제를 동반한 혈압하강효과. 말초혈관확장.
혈당상승
장관이완, 자궁흥분

(2) 절패모
고,한/심,폐
청열화담, 개울산결
[약리]
진해거담: 중추신경계에 작용. 천패모보다 효능 약간 앞섬.
평활근이완/수축: 기관지평활근을 저농도에서는 이완, 고농도에서는 수축. 소장과 자궁 평활근도 수축, 흥분시킴
혈압강하
진정, 진통작용

(3) 반하
신,온,유독/간,위
조습화담, 소비산결, 강역지구
* 반하가 주로 제거하는 담은 비가 化濕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담 위주. 濕痰의 요약.
[약리]
진해: 해수중추에 작용.
최토/진토: 생반하와 고온처리를 거치지 않은 분말은 최토작용. 고온처리하거나 생강즙 또는 백반으로 포제한 반하는 구토중추를 억제하여 진토작용.
항암작용
심장억제: 심실조동과 빈맥에 대한 억제
위장기능 조절 및 이담작용: 위액분비 억제. 장관운동에 대한 조절작용. 담즙분비촉진.
유산: 생쥐에 대한 유산율은 100%에 이름. 배태가 발육이 정지되어 사망함. 수정란 착상 억제작용도 있음.
안압강하: 녹내장 치료 근거.
독성: 구강, 인두, 소화기점막에 강렬한 자극. 심하면 질식사망. 독성은 생반하>강반하>백반반하


2. 천식
* 기관지천식: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으로, 기도 자체의 질환이다. 기관지가 좁아져서 숨이 차고 가랑가랑하는 숨소리가 들리면서 기침을 심하게 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천명(쌕쌕거리는 거친 숨소리)이며, 그 외에 비전형적으로는 마른 기침만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가슴이 답답하거나 흉부 압박감을 호소하는 경우 또는 목구멍에 가래가 걸려있는 것 같은 증상만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 심장성천식: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판막질환 등으로 인한) 심부전이 원인이 되는 천식. 기침을 한다는 증상이 유사할 뿐 원인과 치료는 전혀 다르다. 대개 야간수면 중에 발작성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위장기능저하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식이요법도 필요하다.


3. 소자
신,온/폐,대장
지해평천(質潤하여 하강시켜 利膈下氣->소담지해평천), 윤장통변
[약리]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닭에 대한 실험결과 혈장콜레스테롤 하강. 그러나 생쥐, 집토끼에 대한 실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음.
방부, 항산화작용: 우수함.

4. 양허발열과 음허발열
<양허발열>
하루종일 열. 입맛이 없음. 胃 때문. 맥 침세 또는 부삭, 무력
양기를 올려 열을 흩어야 함.
사군자탕, 보중익기탕, 익위승양탕
<음허발열>
한나절만 열. 입맛이 있음. 腎 때문. 맥은 홍삭,무력
음을 자양하여 열을 내려야 함.
사물탕 가 황금황련치자, 자음강화탕, 감리환

5. 맥문동과 천문동
(1) 맥문동
감,미고,한/ 폐,위,심
양음윤폐, 청심제번, 익위생진, 윤장통변
[약리]
항산소결핍: 협심증증상과 ECG소견을 개선
심장에 대한 작용: 부정맥과 심허혈 개선, 심장수축력을 향상시키면서 심박동수를 늦춤.
출혈성 쇼크: 좌심실의 기능과 anti-shock작용을 개선. 지속시간은 짧다.
혈당: 당뇨유발 토끼에 대해 혈당을 낮추며 islet cell의 회복을 촉진하고 글리코겐을 증가시킴.
면역증강: 비장질량 증가, 대식세포 탐식작용증가, 히스타민 방출 억제.
항균작용
독성: 일부환자에게 구강투여 초기에 더부룩, 구역, 대변량증가 등이 나타나나 2주 정도면 자연소실됨.

(2) 천문동
감,고,한/폐,신
청폐강화, 자음윤조
맥문동보다 더 차고 더 자이하다. 설사유발경향. 소화력 좋은 환자에게만 사용.
[약리]
항균, 항암작용
면역증강: 항체 생존시간을 연장시킴.

박혜영님의 댓글

박혜영 작성일

1. 패모와 반하의 차이점
패모 - 백합과 여러해살이 풀인 패모의 비늘줄기. 성미는 고한, 무독하다. 효능은 열을 내리고 가래를 없애며 기침을 멎게 한다. 폐열로 인한 기침이나 진액부족으로 인한 기침, 담열로 인한 기침에 주로 사용. 열로 인한 과도한 기침을 그치게 하는 요약이다. 또한 폐를 윤택하게 만들어서 건조한 기운을 제거하고 폐를 조화롭게 만든다. 이 외에도 진액 부족으로 인한 나력이나 유옹, 폐옹 등에 사용한다. 천패모와 절패모로 나뉘는데 천패모는 차가우며 단맛을 띠는데 폐를 윤활하게 하여 폐가 열이 있어서 나오는 기침을 멎게 한다. 그러나 절패모는 차가우나 천패모와 달리 고미를 가지기 때문에 열을 꺼주고 뭉친 것을 풀어주는 효능이 강하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금기 : 성질이 차갑고 윤택한 약재이기 때문에 차갑고 습이 있는 기침에는 사용하지 않음 (열담, 조담에 사용)
반하 - 천남성과 여러해살이풀인 끼무릇의 알뿌리. 성미는 신온, 유독하다. 降逆止嘔, 消痞散結, 燥濕化痰의 효능이 있다. 반하는 습담으로 인한 모든 증상을 다스리는 가장 일반적인 약재로 감기로 인한 기침, 가래, 소화장애에 의한 구역, 구토에 사용한다. 거담작용이 있어 호흡중추를 진정하며 기관지 경련을 제거해 해수를 경미케 하고, 기관의 분비물을 감소케 한다. 금기 : 烏頭에 反한다. 陰虛燥咳, 血證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한담, 온담에 사용)

2. 상백피 - 뽕나무의 근피/ 감한무독/ 폐경에 작용
瀉肺平喘, 利水消腫의 효능이 있어 폐열해천, 면목부종, 수종실증, 각기, 소변불리 등을 치료
특히 신장염, 고혈압, 만성해수에 좋은 효과가 있다.
- 甘寒, 性降으로 주로 폐에 작용해 폐열을 사하면서 하기평천하므로 폐열천해를 치료.
- 이수작용으로 퇴종하고 폐기를 숙강하는 효능이 있어 수종실증과 수음정폐, 창만천급에 응용.
- 혈압강하 작용이 있어 간양항성으로 인한 고혈압에 응용.

3. 기관지 천식과 심장성 천식의 차이점
천식은 숨 쉴 때 들어오는 여러 자극물질에 대한 기관지의 과민반응으로 기관지를 비롯한 기도점막에 염증이 생겨 부어오르며 기관지가 좁아져서 喘鳴을 동반한 기침과 호흡곤란이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천식에는 기관지 천식과 심장성 천식이 있고, 기관지 천식에는 신경성으로 오는 것과 기관지성으로 오는 것이 있는데, 대개 천식이라 하면 기관지 천식을 가리킨다.
기관지천식 - 숨을 들이 쉴 때보다 내쉴 때 더 힘들어 하면서 바람소리가 난다.
심장성 천식 - 야간에 특히 잠을 자다가 갑자기 호흡곤란을 일으키고 숨을 들이 마실 때나 내쉴 때나 고통을 느낀다. 

4. 소자 - 차조기와 주름차조기의 성숙한 종자/ 신온무독/ 폐,대장
降氣消痰, 定喘滑腸의 효능이 있어 담연옹성, 기역천해, 장조변비를 치료
특히 흉부의 담을 치고 기 순환을 정상적으로 시켜준다.
- 신온하면서 성이 윤하여 하강하는 성질이 있어 降氣消痰한다.
- 지방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윤하므로 滑腸通便한다.

5. 음허발열과 양허발열의 차이점
음허발열은 기허발열과 마찬가지로 허증이긴 하나 주로 손과 발바박에서 회끈거리며 열이 나고 얼굴이 불그스레해지는데 기허발열에선 대체로 손발에서 열이 나지 않고 얼굴도 붉은 것이 아니라 창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음허발열은 심번, 도한, 실면 증상이 있지만 기허발열은 반대로 심이 번조하지 않고 도한보단 자한 실면보단 기수증상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6. 과루인 - 하늘타리의 성숙한 과실의 종자/ 감한무독/ 폐,위,대장
潤燥化痰, 散結消癰, 滑腸通便의 효능이 있어 폐열조담해수, 유옹, 장옹, 장조변비를 치료
- 淸熱潤燥의 작용이 있어 稠痰을 희석시킨다.
- 脂液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윤장통변한다.

7. 천문동과 맥문동의 차이점
천문동 : 백합과에 속한 천문동의 괴근/ 감고한 무독/ 폐,신
        養陰淸熱, 潤燥生津, 潤腸의 효능이 있어 조열해수, 허로해수, 熱病傷陰, 내열소갈, 장조변비, 인후종통을 치료.
맥문동 : 백합과에 속한 소엽맥문동의 괴근/ 감, 미고, 미한 무독/ 심,폐,위
        滋陰潤肺, 益胃生津, 淸心除煩, 潤腸의 효능이 있어 조해, 음허노수, 위음부족, 내열소갈, 심번실면, 장조변비를 치료.

8. 길경 : 길경과에 속한 도라지의 근/ 고신평 무독/ 폐
宣肺祛痰, 利咽排膿의 효능이 있어 해수다담, 흉민불창, 인후종통, 폐옹토농, 喉옹종통, 瘡瘍농성불괴, 흉만협통, 이질복통을 치료.
- 味辛으로 散하고 味苦로 泄하여 開肺祛痰의 효능이 있는 폐경기분의 요약
- 祛痰排膿의 작용이 양호

9. 현삼 : 현삼과에 속한 현삼의 근/ 고,함,량 무독 / 폐,신
淸熱養陰, 滋陰降火, 凉血解毒의 효능이 있어 구갈번열, 야매불안, 인후종통, 나력, 장옹을 치료.
- 온열병으로 열사가 영분에 들어가 상음하여 진액이 소모됐을 때 응용
- 滋陰降火, 凉血解毒 작용이 있어 血熱發班을 다스린다.
- 鹹味로 軟堅散結하고 解毒散結하므로 인후종통, 구건, 나력, 온병발반을 다스린다.